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일274

11월 20일 오늘의 탄생화, 뷰글라스(Bugloss) 11월 20일의 탄생화는 뷰글라스(Bugloss)입니다. 꽃말은 진실 정직한 사람이 손해볼 때도 있는 것이 세상살이입니다.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면 당신의 마음을 분명히 전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불성실한 라이벌에게 가로채일 수도 있겠군요. 지치과 리콥시스속, 에키움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의 총칭으로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이 원산으로 추정됩니다. 뻣뻣한 털이 많고 꽃은 작고 밝은 푸른색이며, 꽃 아랫쪽이 깔대기처럼 좁아지는데 이곳은 털이 많고 흰색을 띱니다. 화관은 중간에서 구부러져 반쯤 닫힌 물망초 송이와 비슷합니다. 키는 40cm정도 자라고 잎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며 가시가 있습니다. 유럽 각지의 모래가 많은 땅과 들에서 자라며 북아메리카 동부에도 귀화식물로 자라고 있습니다. 에키움 불가레 (Echium vu.. 2020. 11. 20.
11월 19일 오늘의 탄생화, 범의귀(Aaron's Beard) 11월 19일 탄생화는 범의귀(Aaron's Beard)입니다. 꽃말은 "비밀" 당신은 구설수에 오를 운세도 있으므로 오해받지 않도록 하고, 비밀스런 이야기는 연인과 단둘이서만 하세요. 11월 19일의 탄생화와 2월 8일의 탄생화의 이름이 우리말로 "범의귀"로 같습니다. 그런데 영어이름은 각각 "Aaron's Beard"와 "Saxifrage"로 다릅니다. 달리 부르는 이름인가? 라고 생각했지만 그게 아니었습니다. 보통 탄생화, 탄생석, 탄생성 등 생일에 관한 사물이 서양으로부터 전해졌는데 이를 정리하여 번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라고 판단됩니다. 정리하자면 11월 19일의 탄생화는 "범의귀"가 아니라 영어를 직역한 "아론의 턱수염"이 맞고, 2월 8일의 탄생화는 "범의귀"가 맞습니다. 그럼 "아론의 .. 2020. 11. 19.
11월 18일 오늘의 탄생화, 산나리(Hill Lily) 11월 18일의 탄생화는 산나리(Hill Lily)입니다. 꽃말은 장엄 유혹에 약한 타입이군요. 유혹에 넘어가지 말고 당당한 위엄을 갖고 살아갈 때 행복으로 가는 길이라는 것을 잊지마세요. 산나리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일본이 원산지입니다. 높이 1~1.5m로 잘라고 알뿌리는 편구형(기울어진 공 모양)으로 노란빛을 띈 흰색입니다. 잎은 버들잎처럼 생기도 연한 녹색 점이 있으며 나비 1.5~3.5cm로 5맥이 있습니다. 꽃은 6~7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1~10개, 때로는 40개 정도 달립니다. 지름 15~25cm로 크고 흰색 바탕에 붉은 갈색 반점이 있고 향기가 강합니다. 꽃 빛깔이 다른 여러가지 품종이 있고 비늘줄기는 식용합니다. 아담과 이브가 에덴 동산에서 쫓겨날 때 이브가 흘린 눈물이 땅에 떨어져.. 2020. 11. 18.
11월 17일 오늘의 탄생화, 머위(Sweet-Scented Tussilage) 11월 17일의 탄생화는 머위(Sweet-Scented Tussilage)입니다. 꽃말은 공평 사람을 바르게 평가하는 능력의 소유자이군요. 연인을 보는 눈도 분명해 행복한 결혼생활을 보낼 수 있겠군요. 머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불분명하고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자생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산록의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무리지어 잘 자랍니다. 별도로 재배하는 채소가 아니고 집 주변과 울타리 주변이나 밭둑, 산자락에 심어두면 이듬해 봄부터 입맛을 돋우는 채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도 달라 '머구', '머우'라고도 부르며 한의학에서는 봉두채(蜂斗菜)라고 부릅니다. 3~4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뿌리줄기 끝에서 꽃줄기가 나와 지름 7~10mm의 작은 두상화가 다닥다.. 2020. 11. 17.
11월 16일 오늘의 탄생화, 크리스마스 로즈(Christmas Rose) 11월 16일의 탄생화는 크리스마스 로즈(Christmas Rose)입니다. 꽃말은 추억 신비한 매력이 있는 당신은 희망이 큰 사람이어서 결혼이 늦어지기 쉽겠군요. 크리스마스로즈(Christmas rose)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풀로 유럽 지중해 근방이 원산지입니다. 헬레보루스(Helleborus)속에 포함된 여러 종을 통칭해서 크리스마스트리라 부릅니다. 높이 15~30cm정도 자라고 잎과 줄기에는 털이 없습니다. 뿌리줄기는 굵고 잎이 무더기로 나옵니다. 잎은 두껍고 윤기가 있으며 손바닥 모양으로 7~9개로 갈라집니다. 작은 잎은 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털이 없으며 윗부분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12월에서 2월경에 피고 꽃줄기에 1~2개씩 달립니다. 꽃은 지름 5~6cm정도로 큰.. 2020. 11. 16.
11월 15일 오늘의 탄생화, 왕관갈퀴나물, 황금싸리(Crown Vetch) 11월 15일의 탄생화는 왕관갈퀴나물, 황금싸리(Crown Vetch)입니다. 꽃말은 겸손 당신의 운세는 정말로 훌륭하군요. 그렇지만 주위의 협력이 있어야만 성공하겠군요. 그점을 잊지 마세요. Crown vetch는 황금싸리, 왕관나비나물, 크라운배지 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는데, 비교적 최근인 2013년에 한글명이 '왕관갈퀴나물'로 정해졌습니다. 둥글게 모여 핀 꽃의 모습이 왕관 같고 갈퀴나물 종류라는 뜻에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왕관갈퀴나물은 서남아시아, 유럽등이 원산지이고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등지의 풀밭에 서식하는 콩과의 한해살이풀입니다. 길이 80~150cm로 자라고, 잎은 어긋나기하고 15개~25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우상복엽)입니다. 작은 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뭉툭하거나 중앙.. 2020. 11. 15.
11월 14일 오늘의 탄생화, 소나무(Pine) 11월 14일의 탄생화는 소나무(Pine)입니다. 꽃말은 불로장생 자기 향상심이 강한 성격이군요. 오로지 밀어붙이기만 해서는 따돌림을 당하므로 때때로 늦추는 것도 필요하겠군요. 소나무는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 한국, 일본등이 원산지입니다. 주로 솔나무, 송목, 적송, 육송 등으로 부르며, 송유송(松油松), 여송(女松), 자송(雌松), 청송(靑松) 등으로도 부릅니다. 학명은 Pinus densiflora S. et Z. 입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나무로 전국 각지 산야에 자라는데 주로 중부 지방에 많이 자랍니다. 도심지에도 공원이나 주택지 근처에 많이 심습니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일부 지역, 러시아 연해주의 동해안에 분포합니다. 키는 20~35m에 달합니다. 나무껍질은 거북이 등껍질처.. 2020. 11. 14.
11월 13일 오늘의 탄생화, 레몬 버베나(Lemon Verbena) 11월 13일의 탄생화는 레몬 버베나(Lemon Verbena)입니다. 꽃말은 인내 마음이 넓고 상냥한 당신이지만 좀처럼 마음을 열지 않아 연애에서 결혼까지는 오랜시간이 걸리겠군요. 레몬버베나(Lemon verbena)는 마편초과(Verbenaceae)에 속하는 다년색 관목으로 아르헨티나, 칠레 등 남아메리카가 원산지 입니다. 학명은 Aloysia triphylla. 원산지인 남미 열대지방에서는 키가 10m까지 자라기도 하지만, 화분으로 키우면 30cm정도로 자랍니다. 잎은 길고 폭이 좁으며 잎끝이 뾰족하고 황록색을 띱니다. 꽃은 여름에 흰색 또는 연보라색으로 작은 것이 밀집하여 원추화서(圓錐花序)로 달립니다. 남미 안데스 지방에서 애용하던 허브 식물로 고대 페루인들이 고산지역에서 순응흐며 살기 위해 약.. 2020. 11. 13.
11월 12일 오늘의 탄생화, 레몬(Lemon) 11월 12일의 탄생화는 레몬(Lemon)입니다. 꽃말은 진심으로 사모함 예기치 않은 만남으로 참된 사랑이 태어날 운명입니다. 바로 이 사람이구나 하고 직감이 오면 그 사람이 바로 진짜 당신의 연인이 될지도 모르겠군요. 레몬(Lemon)은 운향과의 상록소교목으로 인도, 파키스탄 또는 히말라야가 원산지로 추정됩니다. 이탈리아와 캘리포니아 연안같이 비교적 시원하고 기후의 변화가 없는 곳에서 잘 자랍니다. 높이는 3~6m 정도이고 잎은 어긋나고 어릴 때는 붉은 색을 띠지만 점점 녹색으로 변합니다. 꽃은 5~10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또는 몇 개씩 무리지어 달립니다. 꽃봉오리는 붉은 색이고, 꽃의 안쪽은 흰색, 바깥쪽은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을 띱니다. 열매는 1년에 6~10번 수확하는데, 주로 10월 이.. 2020. 11. 12.
11월 11일 오늘의 탄생화, 흰동백(Camellia) 11월 11일의 탄생화는 흰동백(Camellia)입니다. 꽃말은 비밀스런 사랑 가련한 마음을 가슴속에 감춘 당신이지만 비밀스럽더라도 격렬한 사랑을 하겠군요. 흰동백은 차나무과의 상록활엽 소교목으로 해변에서 자랍니다. 학명은 Camelia japonica for. albipetala. 높이 5~7m정도이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집니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매끄럽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5~12cm의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입니다.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기가 나며 잎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잎은 두껍고 잎자루는 길이 2~15mm이며 털이 없습니다. 꽃은 양성화로 1~3월에 흰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1송이로 달립니다. 꽃자루는 없고 꽃받침조각은 5개로 달걀 모양입니다. 꽃잎은 5~7개로.. 2020. 11. 11.
11월 10일 오늘의 탄생화, 부용(Hibiscus Mutabilis) 11월 10일의 탄생화는 부용(Hibiscus Mutabilis)입니다. 꽃말은 섬세한 아름다움 우아한 사생활을 보내고 있는 당신은 유혹당하기 쉽겠군요. 유혹당하기 전에 사랑하는 사람을 스스로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부용(芙蓉)은 아욱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입니다. 학명은 Hibiscus mutabilis L입니다. 높이 1~3m정도로 자라고 가지에 성모(星毛: 여러 갈래로 갈라진 별 모양의 털)가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3~7개로 얕게 갈라지지만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으며 심장저로 별모양의 털과 더불어 잔 돌기 가 있습니다. 갈래조각은 달걀모양의 삼각형이며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8~10월에 피고 지름 10~13cm로 연한 홍색으로 취산상으로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립.. 2020. 11. 10.
11월 9일 오늘의 탄생화, 몰약의 꽃(Myrrh) 11월 9일의 탄생화는 몰약의 꽃(Myrrh)입니다. 꽃말은 진실 남들의 부탁을 받으면 거절을 못하는 당신은 좀 더 자신을 위해 영악해질 필요가 있겠군요. 몰약은 콤미포라속 (Commiphora 屬)의 작고 가시가 있는 꽃피는 교목에서 혹은 콤미포라 미르라(C. myrrah), 콤미포라 아비시니카(C. abyssinica) 같은 감람과(橄欖科, Burseraceae)식물에서 나오는 진을 말린 것을 말합니다. 대강 몰약나무라고 하면 콤미포라속 감람과의 식물로 몰약을 얻을 수 있는 나무를 통칭하는 용어로 이해하면 되겠네요. 몰약나무는 소말리아에서 에티오피아, 아라비아반도에 걸쳐 분포하는 높이 3m가량의 관목입니다. 줄기와 가지에는 불규칙적인 가시가 있습니다. 잎은 단엽 또는 삼출복엽으로 엽병은 짧고 계란형입.. 2020. 11. 9.
11월 8일 오늘의 탄생화, 가는동자꽃(Lychnis Flos-Cuculi) 11월 8일의 탄생화는 가는동자꽃(Lychnis Flos-Cuculi)입니다. 꽃말은 기지 결혼에 관해서 신중한 당신은 진심으로 납득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므로 만혼이 되겠군요. 가는 동자꽃은 석죽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한국, 일본 산지에 분포합니다. 생육환경은 고산지역과 같은 서늘한 곳이며 햇볕이 좋고 습기가 많은 습지에서 주로 드문드문 자생합니다. 키는 60~100cm정도이며, 잎은 끝이 약간 뾰족한 피침형이고 길이는 5~10cm, 나비는 0.6~1.2cm가량 되며 표면에 털이 나 있고, 줄기는 전체적으로 아래로 향해 잔털이 나 있습니다. 꽃은 7~8월에 짙은 홍색으로 피고 지름이 약 2.5cm가량 되며, 꽃잎은 모두 5장이며 끝은 두 갈래로 깊이 갈라집니다. 긴 원통형의 종자가 10월경에 맺히는데 .. 2020. 11. 8.
11월 7일 오늘의 탄생화, 메리골드(Marigold) 11월 7일의 탄생화는 메리골드(Marigold)입니다. 꽃말은 이별의 슬픔 주변 사람들 중 유독 당신에게 짓굿게 구는 사람이 있다면 혹시 미래의 파트너가 될 지 모르니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메리골드(Marigold)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금잔화, 금송화, 프랑스 금잔화, 홍황초 등 여러가지 다른 이름이 있습니다. 키는 20~50cm정도이고 곧추서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집니다. 뿌리는 모여나며 긴 계란형입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아래쪽이 줄기를 조금 감쌉니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없습니다. 꽃은 6~10월에 줄기나 가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1개씩 달리며, 지름이 보통 1.5~1cm정도이나 종에 따라 큰 것은 8cm 정도 .. 2020. 11. 7.
11월 6일 오늘의 탄생화, 등골짚신나물(Agrimony Eupatoire) 11월 6일의 탄생화는 등골짚신나물(Agrimony Eupatoire)입니다. 꽃말은 주저 결단력, 판단력이 뛰어나 다른 사람들의 문제를 시원스럽게 해결하겠군요. 그런데 정작 자신의 문제해결은 서툴군요. 자기의 일도 생각해 보는게 어떨까요? 등골짚신나물은 장미과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장미과라는게 신기할 정도로 장미와 거리가 먼 식물로 보입니다. 등골짚신나물, 짚신나물, 큰골짚신나물, 집신나물, 북짚신나물, 산집신나물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데 보통 짚신나물로 불립니다. 이밖에도 황아초, 지동풍, 자모초, 황우미, 지초 등 여러 이름이 있습니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주름진 잎맥이 마치 짚신을 연상시켜 짚신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옛날에 짚신이나 버선 등에 잘 달라붙어서 짚신나물이라.. 2020. 11. 6.
11월 5일 오늘의 탄생화, 단양쑥부쟁이(Fig Marigold) 11월 5일의 탄생화는 단양쑥부쟁이(Fig Marigold)입니다. 꽃말은 공훈 햇빛을 받아 꽃이 피듯 무엇이든 잘해 나가겠군요. 다만 일이 잘 풀리는 만큼 라이벌도 많겠군요. 단양쑥부쟁이(Fig marigold)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아스테르 알타이쿠스(Aster altaicus)의 한국 고유 변종입니다. 과거 충북 단양부터 충주까지 남한강 유역에 널리 분포했으나 하천 개발에 따른 서식지 훼손으로 사라졌습니다. 초년도의 줄기는 높이가 15cm정도에 달하고 잎이 총생하며 화경은 전년도의 줄기에서 계속 자라고 갈라져 사방으로 퍼집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잎자루가 없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꽃은 8~.. 2020.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