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신의 탄생화

3월 17일 오늘의 탄생화, 콩꽃(Beans)

by 헬맷 2021. 3. 17.
반응형

3월 17일의 탄생화는 콩꽃(Beans)입니다.


꽃말은 "반드시 오고야 말 행복 "
콩꽃을 탄생화로 갖는 당신은 개방적이고 낙천적이며 무슨 일이건 흥미를 갖는 타입입니다.

콩 또는 대두(大豆)는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는 한해살이풀입니다.

높이 20~100cm 정도이고 보통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습니다. 잎은 2개 혹은 3개의 작은 잎으로 어긋나며 짧은 털로 덮여 있습니다.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짧은 가지에 많은 흰색, 보라색, 홍색 등의 작은 접형화(蝶形花 : 나비모양꽃, 윗부분에 하나의 큰 기꽃잎과 측부에 2개의 날개꽃잎. 하부에 하나의 용골꽃잎으로 이루어진 꽃)가 달리며, 그중 몇 개의 꽃이 결식하여 꼬투리가 됩니다. 꼬투리 속에는 1~25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완전히 익으면 쭈글쭈글해집니다. 종자는 품종에 따라 구형, 평구형 등이 있으며, 크기는 매우 다양하고 씨껍질의 빛깔은 황색, 다색, 흑색 등이 있습니다. 

뿌리에는 많은 뿌리혹이 생기는데 공중 질소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므로 메마른 땅에도 잘 적응하며, 땅의 힘을 유지하는데도 좋습니다. 보리, 옥수수, 수수 등과 섞어서 심는데도 좋습니다.

콩은 야생 돌콩으로부터 재배작물로 발달했습니다. 원산지는 중국 만주지방을 중심으로 한반도 북부 두만강 유역에 걸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시대에 콩을 재배한 유적이 발견됩니다.

콩에는 30~50%의 단백질과 13~25%의 지방이 들어있습니다. 씨알 그대로 밥을 해 먹는 것 외에 된장, 간장, 두부, 콩나물로 먹기도 합니다.

콩에서 짠 콩기름은 식용이나 공업용으로 사용합니다. 콩기름을 짜고 난 콩깻묵은 가축의 사료로 쓰이거나 농작물의 거름으로도 사용합니다.

콩에는 트립신의 활동을 방해하는 특정 단백질이 들어있어 날로 먹으면 배탈이 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콩을 가열하면 이 단백질 성분이 변성되어 트립신이 활성화되어 소화가 잘 됩니다.

반응형

댓글